코드를 작성하다보면 항상 확인을 하게된다
참고용으로 기록해두었다
a : 배열 (Array)
b : BOOL 형 변수 (Boolean)
by : BYTE 형 변수 (Byte, = unsigned char)
c : 카운터 변수 (Counter, = int)
cb : 바이트의 개수
ch : char형 변수 (Character, = char)
cx : X 좌표용 변수 (Coordinate X Value, = int)
cy : Y 좌표용 변수 (Coordinate Y Value, = int)
d : 날짜형 변수 (CDate)
dbl : double형 변수 (Double, = double)
dw : Unsined Long (DWORD)
f : BOOL 형 변수 (Flag)
h : 핸들형 변수 (Handle, = HANDLE)
n : 자연수형 변수 (Natural Number, = int)
i : 정수형 변수 (Integer, = int)
i : 인덱스 (Index)
l : long형 변수 (Long, = long)
m_ : 특정 클래스의 멤버 변수 (Member Variable)
p : 포인터 변수 (Pointer, = [type]*)
lp : long/far 포인터 변수 (Long/Far Pointer)
- 32비트 프로그래밍에서는 일반 수준의 포인터로 취급함
- 16비트 프로그래밍에서는 먼 거리의 포인터로 취급함
s : 문자열 (String)
sz : NULL (= \0)로 끝나는 문자열 (String)
u : 자연수 중 양수형 변수 (Unsigned Integer, = unsigned int)
w : WORD형 변수 (Word, = unsigned short)
dw : DWORD형 변수 (Double Word, = unsigned long)
str : CString형 변수 (String)
출처: https://unidri.tistory.com/38 [이것이운명이다]
'토막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업캐스팅 시 동적 바인딩 과정 (0) | 2022.10.04 |
---|---|
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Putty 포트포워딩 꿀팁 (0) | 2022.09.04 |
[Azure] Webapps 에 도메인넣고 SSL 설정하기 (0) | 2022.09.03 |
페이지네이션(Pagination) 간단정리 (0) | 2022.06.18 |
답답해서 정리해보는 Google OAuth2 연동방법 (0) | 2022.06.06 |